[토요와이드] 이순신의 '정중여산' 인용한 이준석 "어느 누구도 탈당 말라"<br /><br /><br />국민의힘 이준석 전 대표에 대한 추가 징계 여진이 계속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 전 대표의 첫 메시지가 나온 가운데 향후 어떤 행보를 보일지 관심인데요.<br /><br />두 분과 정치권 소식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차재원 부산가톨릭대학교 특임교수 박창환 장안대 교수 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국민의힘 윤리위가 이준석 전 대표에 대한 추가 징계로 '당원권 정지 1년' 처분을 택했습니다. 내년 6월 임기 종료 전에 대표직에 복귀하는 것은 불가능해졌는데요. 이 전 대표, 정치적 치명상이 불가피하다고 봐야겠죠?<br /><br /> 이 전 대표는 탈당하지 말고 각자 위치에 있으라는, 징계 뒤 첫 입장을 냈습니다. 인용한 '물령망동 정중여산'은 경거망동하지 않고 태산처럼 신중하게 행동하라는 뜻인데 탈당, 신당 창당에 선을 긋는 메시지로 이해해도 될까요?<br /><br /> 애초 예상됐던 제명이나 탈당 권유와 같은 초강수는 아니었습니다. 2024년 1월 8일까지 당원권이 정지되고, 차기 총선을 불과 석 달 앞둔 시점인데요. 이에 따라 징계 수위도 묘한 정치적 해석을 낳고 있습니다?<br /><br /> 실제 이 전 대표는 다음 정치적 목표가 3번이나 낙선했던 서울 노원구에서 국회의원에 당선되는 것이라고 밝혀왔습니다. 공천을 염두에두고 있다면 앞으로 어떤 행보에 나설까요. 차기 전당대회를 앞두고 유승민 전 의원을 측면지원할 가능성도 제기되는데요?<br /><br /> 갤럽 지지율을 보면 대통령 지지율은 29%로 반등에 성공했습니다. 가처분 신청은 모두 기각됐고, 추가 징계까지 마무리하며 비대위는 이제 가까스로 안정을 찾은 모습인데요. 이번 계기가 대통령 지지율에는 영향을 미치게 될까요?<br /><br /> 정당 지지율은 국민의힘 33%, 더불어민주당 32%, 정의당 4%로 집계됐습니다. 특히 지지하는 정당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은 30%로 나타났는데, 무당층 비율이 30%대로 올라선 것은 올해 들어 이번이 처음인데요. 어떤 의미로 보십니까?<br /><br /> 이런 가운데 국민의힘은 여성가족부 폐지를 핵심으로 하는 정부조직법 개편안을 국회에 발의했습니다. 민주당이 얼마나 협조하느냐가 관건인데, 아직 어느 수준으로 대응할지는 공식 입장을 삼가고 있는데요. 이런 신중론의 배경은 뭐라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올해 국정감사에서도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거친 말들이 오가고 있는데요. 권성동 의원은 전임 정부에서 임명된 김제남 한국원자력안전재단 이사장 사퇴를 압박하다 "혀 깨물고 죽지"라고 말해 논란입니다. 야권에선 윤리위에 제소하겠단 입장인데요?<br /><br />#이준석 #국민의힘 #탈당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